Su-A


 

천간 기준으로 한 바퀴를 돌면서 지지와 짝을 지을때 남는 지지를 일컫는다.

즉, 갑자부터 계유라면 갑에서 계까지 한 바퀴 돌면서 지지 술해는 천간과 짝지을 짝이 없다는 것이다.

.

“공”은 비었다는 뜻이며, “망”은 망실. 즉 없다는 것이다.

앞 지지 글자가 “공”이고, 뒷 지지 글자가 “망”이다.

즉 술해가 공망이라면 “술”이 “공”, “해”가 “망”이다.

보통 통변시에는 두 지지 글자를 다 묶어서 공망으로 해석을 하지만,

자세하게 분석할 때는 반드시 구분 해줘야 한다.

.

예를 들어 여자 갑술 일주는 관성인 신유가 공망이며 편관 “신”은 “공”이며 정관 “유”는 “망”이다.

즉,

원국에 편관이 있다면 편관이라 배우자 인연과 덕이 정관에 비해 상대적으로 약한데

공망의 “공”이니 더욱더 약하다는 것이며

원국에 정관이 있다 하더라도 공망의 “망”이니 최소 한 번의 정관 망실의 사건이 있다고 보면 된다.

단, 실제 정관 망실의 확률은 원국을 더 분석해야 한다.

.

공망은 모든 것에 영향을 미친다.

단, 공망은 해당 오행, 대운, 천을귀인엔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아니한다.

예를 들어 병일간은 지지 해유가 천을귀인이다.

그런데 병자 일주에게는 신유가 공망이 되면서 남자 병일간이 유를 보면 정재인데 공망인 천을귀인이다.

만약 남자 병자일주가 원국에 지지 유가 있다면

공망이면서 천을귀인인 배우자를 뜻하는데 공망의 현상과 천을귀인의 현상이 다 나타난다고 보면 된다.

.

공망은 형태는 있으나 내용과 기능은 비어 있고 망실 되어 있다고 보면 된다.

마치 콩쥐팥쥐 전래동화에서 콩쥐의 구멍 뚫린 항아리처럼 채워도 채워도 채워지지 않는 것이기도 하다.

때문에 해당 육친을 활용하기가 힘들다고 보면 된다.

그런데 열심히 노력해서 채우면 채워질 것 같기도 하다.

때문에 자꾸 채우려고 하는 동작이 자주 강하게 일어난다.

하지만 공망은 공망이다.

.

그래서 공망을 쫓아 배우자와 직업인 재관을 삼으면 일생이 힘들기도 하다.

때문에 통변시 공망은 무조건 체크해야 한다.

원국에 있든 없든 해석하면 된다.

원국에 있으면 공망의 현상은 더 뚜렷하게 나타난다.

.

또한 단일 육친으로 이루어진 공망인 “신유”와 “인묘”를 공망으로 하는 일주들이 그 피해가 좀 더 크다.

특히 현대사회에서는 해당 공망을 재와 관으로 사용하는 일간들은 그 피해가 더 크다고 볼 수 있다.

.

신유를 재성(정재, 편재)으로 쓰는 병자, 정축 일주 / 관성(정관, 편관)으로 쓰는 갑술, 을해 일주.

인묘를 재성(정재, 편재)으로 쓰는 경술, 신해 일주 / 관성(정관, 편관)으로 쓰는 무신, 기유 일주.

.

그런데 만약, 천라지망인 술해, 진사가 공망인 일주들이

사주 구조상 활인업에 종사하게 된다면 오히려 공망이 더 도움이 되기도 한다.

술해 공망의 일주들은 원국을 보고 활인업을 선택한다면 정신, 상담쪽 분야의 활인업이 잘 맞고,

진사 공망의 일주들은 원국을 보고 활인업을 선택한다면 보건, 의료쪽 분야의 활인업이 잘 맞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